그간 윈도우 노트북으로 영상처리 관련한 정보를 찾아보고 한번 시도해보려고 했는데, cmake 설치 이후 binary path ....
하고는 뭘 따라해도 dlib 설치가 안되던 분들을 위해..
1. Visual Studio Code 설치
2. VSCode 화면 왼쪽 네번째 Extention에서 파이썬 설치



아무 파이선 파일 작성 후 돌아가는게 확인되면 일단 설치 완료.
python --version
맥북은 기본적으로 2.7버전의 파이썬이 설치되어 있어서 별도의 설정을 안해주면 어렵사리 설치한 3.x 버전을 실행하기 어렵다.
일단 터미널에서 뭔가 설치할 때에는 pip3 만 기억하면 다른건 괜찮아질거다.

pip3 install cmake


설치중에 경고문구가 뜨면서 pip 를 업데이트 하라는 말이 나온다. pip그대로 따라서 치면 오류가 나니, 잊지말자 pip3
pip3 install --upgrade pip
그럼 이제 다 왔다.
이제 이미지 분석, 처리 관련한 것들 마저 설치해버린다.
dlib, keras, matplotlib, opencv, astroid 설치는 단순하게 '설치' 만하면되는데, 아직 용어가 익숙하지 않은 나같은 사람을 위해..
opencv의 경우 꼭 재확인하고 진행하길 권한다.
openCV 의 경우는 opencv-python으로 진행해야 한다.
pip3 install dlib
pip3 install keras
pip3 install matplotlib
pip3 install opencv-python
pip3 --ignore--installed --upgrade astroid
pip3 --ignore --installed --upgrade tensorflow
pip3 install flask
pip3 install sklearn





이제 다음엔 올라와있는 자료들 따라 천천히 확인하는데 부딪히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는, 데이터셋에 대한 테스트를 돌려보면서, 아래의 데이터를 인식한 결과와 출력한 정보를 보면서 감을 더 잡아볼까 싶다.
